ipv4 addressing : classful vs. classless addressing(CIDR) 과거에는 서브넷이 가변적이지 않았다. 즉, 위의 사진에서처럼 클래스에 따라 서브넷이 어디까지 있는지 확정할 수 있었다. 클래스는 처음 비트가 0으로 시작하고뭐 이런걸로(1st octet high order bits) 클래스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디바이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결국 주소부족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이를 극복하고자 classful한 방식에서 classless addressing으로 점차 바뀌게되었다.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이 사진에 따르면 host를 많이 수용할 수 있는 클래스 b..
IP addressing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주소는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할당되는 지 알아보자 소개 ipv4는 주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걸로 디바이스를 식별해야하는데..) ip주소는 32bit이다. 그러나 bit 표현은 보기 힘들기 때문에 8bit를 10진수로 표현해서 보여준다. (dotted-decimal ip address notation) 223.1.1.1 이런 식으로 보이게 됨 interface : host, router 와 연결 시켜주는 컴퓨터 포트 같은 것이다. 즉, 호스트혹은 라우터와 물리계층 사이의 연결을 말함 별도로 식별된다. 라우터는 '길'이 여러개이지만 호스트는 '길'이 하나다. 두개인 경우도 있긴하다. 💡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연결될까? 링크계층에서 이뤄진다 유선 ether..
internet host, router network layer functions: transport layer- TCP, UDP 밑에 계층임 network-layer :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라우팅 알고리즘이 짝지어져 있어. 즉, forwarding table을 계산해 SDN을 사용해 forwarding table 계산 IP protocol ; 데이터에 관한 것. 데이터 그램의 아이피 주소를 찍어 보내. 어떤 식으로 데이터그램을 다룰거냐 동시에 여러 프로토콜이 존재: ICMP, routing, ip, SDN ICMP 아이피의 시그널 오류를 보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예) 받는 라우터가 다운되면 이걸 알리는 역할.. 참고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은 데이터그램 == 패킷이다. 차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