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addressing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주소는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할당되는 지 알아보자
소개
- ipv4는 주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걸로 디바이스를 식별해야하는데..)
- ip주소는 32bit이다. 그러나 bit 표현은 보기 힘들기 때문에 8bit를 10진수로 표현해서 보여준다. (dotted-decimal ip address notation)
- 223.1.1.1 이런 식으로 보이게 됨
- interface : host, router 와 연결 시켜주는 컴퓨터 포트 같은 것이다.
- 즉, 호스트혹은 라우터와 물리계층 사이의 연결을 말함
- 별도로 식별된다.
- 라우터는 '길'이 여러개이지만
- 호스트는 '길'이 하나다. 두개인 경우도 있긴하다.
💡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연결될까?
- 링크계층에서 이뤄진다
- 유선 ethernet은 ethernet swtich에 의해
- 무선 wifi interfaces는 wifi base station에 의해 연결된다!
subnet
💡 Subnet은 무엇일까?
- 라우터들의 집합
- 하나의 IP주소를 여러 개의 IP주소로 나눠 사용자와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작은 그룹으로 나누어진 네트워크
- 각각의 격리된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 같은 subent안에 존재하는 device는 같은 subnet part of IP addr를 가지고 있으며, 물리적 관점에서 이 device끼리는 router없이 서로 닿을 수 있다.
Subnet의 IP address구조
계층적인 구조로 IP는 subnet part와 host part로 나뉨
- 24 : subnet part. 가변적. subnet mask라고 부름
- 8 : host ip가 설정됨
- 같은 subnet에 포함된 애들은 같은 아이디를 가지고 있다.
다음 글에서는 ip addressing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728x90
'네트워크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ipv4 addressing : classful vs. classless addressing(CIDR) & DHCP (1) | 2023.12.27 |
---|---|
[네트워크] IPv4 구조와 패킷의 분리와 결합 원리 (0) | 2023.12.04 |
[네트워크] 라우터의 구조를 알아보자(2) (0) | 2023.11.27 |
[네트워크] 라우터의 구조를 알아보자 (0) | 2023.11.15 |
[네트워크] Data plane과 Control plane (0)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