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만든 데이터베이스에 column을 추가하고, 그 값들로 화면을 구성해 볼 것이다. 지난 글을 죽 따라가면 이런 인스타그램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 중요한 작업이 시작된다. 데이터베이스를 가져와서 뿌려줄거다. 일단, ORM개념을 알아야한다. (object relational mapping) 과거에는 db의 테이블을 따로 만들고 실제 코드에서 DB에 사용하는 필드를 일일이 선언하고 조회해서 사용했다. 이때, sql문이 사용된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코드에서 필드를 설정을 하면 꼭 DB에도 이중적으로 만들어줘야할까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DB와 code둘 다 작성해주어야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던 과거의 방식에서, 객체의 개념을 따와 cod..
Django는 프로젝트 안에서 앱 단위로 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 폴더는 하나의 앱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하나의 앱을 만들면, 하나의 폴더가 생긴다. python manage.py startapp [app이름] 이렇게 앱을 만들면 된다. 앱단위로 관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기능을 다루는 소스파일들이 있는데, 이 모든 파일을 한 곳에서 관리하면, 부피가 너무 커지게된다. 이를 분리하기 위해 앱단위로 나눠 관리한다. 분할작업도 편리해지고, 협업도 편리해진다. templates밑에 폴더를 나누는 이유도 이런 이유다. 지난 글에서 만든, instagramProject는 프로젝트 생성할 때, 자동으로 만들어진 폴더다. 따라서 앱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2024.01.11 - [django] - (2) Dj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