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급작스레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일단 진행에 앞서, 데이터를 모아야하기 때문에 json파일 형태로 크롤링하여 몽고디비에 올릴예정이다.
그럼 어떻게 셋팅했는지 알아보자!!
1. git, node.js, visual studio code설치
(1) git설치
Git - Downloads
Downloads macOS Windows Linux/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in GUI tools (git-gui, gitk), but there are several third-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specific exp
git-scm.com
위에 들어가서 본인 환경에 맞는 버전으로 설치한다.
(2) node.js 설치
https://nodejs.org/ko/download
다운로드 |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마찬가지로 설치
(3) visual studio code설치
https://code.visualstudio.com/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개발 툴로 나는 visual studio code를 주로 많이 쓴다. 왜냐면 가벼움ㅇㅇ
2. git 사용하기
다 설치했으면 'git-bash'를 열어준다!!
이렇게 생겼다.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
github.com
그리고 깃허브에 가서(당연히 계정이 있어야 돼용)
원하는 repository를 선택하면,
이런 복제할 수 있는 링크(?)가 있는 곳이 있다. (이건 그냥 백준문제 올려두는 리포지토리다)
여기서 노란색 하이라이트 부분을 그대로 git bash에 써서 클론해주면 된다.
git clone https://github.com/~~
대충 이런식으로 쓴다.
그럼 open in browser이라는 모달같은게 뜨는데, 파란버튼을 클릭해면 최종 복제가 된다.
그리고 git bash에서 파일이 생성된 곳으로 들어간다.
cd 파일명
이후 npm을 설치해준다.
npm install
이렇게 하면, 최종적으로 puppeteer을 쓸 수 있는 환경이 완성된다!!
다음 글에서는 git을 어떻게 쓰는 지 알아보도록하자!!